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매달 꼭 해야 하는 건설 일용직 근로내용확인신고, 이렇게 하면 쉽습니다!

by green-saem 2025. 4. 5.

건설 일용직 근로내용확인신고, 초보자도 10분 안에 끝내는 법

건설 현장에서 일용직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면 매달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근로내용확인신고입니다. 이 신고는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서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적용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신고를 소홀히 하면 과태료 부과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정확하고 기한 내에 처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를 활용한 간편 신고 방법과 함께, 실무에 꼭 필요한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근로내용확인신고란?

근로내용확인신고는 건설 일용직 근로자의 아래 내용을 매월 신고하는 절차입니다.

  • 근무 일자
  • 근무 현장
  • 급여 내역

이 신고를 통해 근로자는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의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사업자는 법적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신고 기한 및 과태료 기준

  • 신고 기한: 매월 15일까지 전월의 근로내용 신고
  • 과태료 부과 기준:
    • 공사금액 5억 원 이상: 1개월 이상 지연 시
    • 공사금액 5억 원 미만: 6개월 이상 지연 시
  • 과태료 금액: 3만 원 ~ 최대 100만 원

Tip: 신고 지연은 불이익이 크므로 알람 설정을 추천합니다.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로 신고하는 방법

  1. 홈페이지 접속 및 로그인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바로가기 ▼

  1. 신고 메뉴 이동
    상단 메뉴 ‘민원접수 신고’ → 좌측 메뉴 ‘가격관리 > 근로내용확인신고’ 선택
  2. 신고 방식 선택
    엑셀 파일 업로드 방식 추천 (대량 처리 가능)
  3. 입력 항목 설정
    • 보험 구분: ‘고용’
    • 신고 연월: 전월 선택
    • 사업장 관리번호 입력 후 ‘사업장 포함’ 체크
    • 현장 선택
    • 공사금액이 20억 이상일 경우, 관리책임자 정보 입력
  4. 엑셀 업로드 및 신고 완료
    • 엑셀 양식 작성 → 업로드
    • 오류 검증
    • 정상일 경우, 최종 접수 클릭

실무 꿀팁

  • 전산 프로그램 활용: 공제액 자동 계산, 시간 단축
  • 엑셀 템플릿 저장: 반복 업무에 매우 유용
  • 작업일지 정리 습관: 출근부 및 급여 정리가 쉬워짐

마무리 정리

근로내용확인신고는 건설업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중요한 업무입니다. 위 절차에 따라 진행하면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신고를 마칠 수 있으며, 무엇보다 기한 내 정확한 신고가 핵심입니다.

작은 실수도 과태료로 이어질 수 있으니, 매달 체크리스트처럼 확인해 보세요.

도움이 필요하다면?

  • 고용산재보험 고객센터: 1588-0075
  • 또는 댓글로 질문 남기기

 

★엑셀 양식 예시 (근로내용확인신고용)

 

| 성명 | 주민등록번호 | 공사명 | 공사현장코드 | 근무시작일 | 근무종료일 | 총 근무일수 | 일당 | 총 임금 | |------|----------------|--------|----------------|--------------|--------------|------------|------|--------| | 김철수 | 900101-1234567 | ○○아파트 신축공사 | 20240101 A001 | 2024-03-01 | 2024-03-05 | 5일 | 120,000원 | 600,000원 | | 이영희 | 880202-2234567 | ○○아파트 신축공사 | 20240101A001 | 2024-03-02 | 2024-03-03 | 2일 | 130,000원 | 260,000원 |

1. 양식 항목 설명

  • 성명: 주민등록상 이름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반드시 "-" 포함 (일부 시스템은 하이픈 없으면 오류)
  • 공사명: 고용보험 시스템에 등록된 명칭과 동일해야 함
  • 공사현장코드: 해당 공사에 부여된 고유 코드 (총공사금액 20억 이상이면 필수 입력)
  • 근무시작일 / 종료일: ‘YYYY-MM-DD’ 형식으로 입력해야 오류 없음
  • 총 근무일수: 실제 일한 날짜 수 (공휴일 제외 여부는 사업장 규정에 따름)
  • 일당 / 총 임금: 원 단위로 입력, 쉼표 없이 숫자만 기입하는 것을 권장

 엑셀 저장 시 파일 확장자는. xls 또는. xlsx 모두 가능하지만, 매크로가 있는 경우 업로드 오류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2. 오류 검증 시 자주 나오는 메시지 정리 및 해결법

오류 메시지주요 원인해결 방법
주민등록번호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하이픈(-) 빠짐 또는 오탈자 ‘900101-1234567’처럼 정확히 입력
공사현장코드를 확인하세요 등록되지 않은 코드 사용 고용산재보험 시스템에서 현장코드 재확인
근로일수가 0일입니다 시작일과 종료일 동일 또는 누락 날짜 확인 및 총 근로일수 정확히 입력
일당 또는 총임금에 문자 포함 “120,000원” 등 단위 포함 숫자만 입력 (예: 120000)
동일 인물 중복 등록됨 같은 사람 정보가 두 번 이상 기입 중복 행 제거 또는 날짜 병합 처리
엑셀 업로드 오류 (파일 오류) 양식 자체 문제, 필드 누락 공식 템플릿 기반으로 다시 작성

📂 엑셀 템플릿 무료 제공 안내 

● 초보자를 위한 근로내용확인신고 엑셀 템플릿이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 신고서 양식을 받아서 작성해보세요.
또는 공식 양식 다운로드 바로가기에서 최신 양식을 받으실 수 있어요.

 

▶ 건설_일용직_근로내용확인신고_엑셀_예시. xlsx 다운로드

건설_일용직_근로내용확인신고_엑셀_예시.xlsx
0.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