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부터 SNS 불법추심도 보호! 채무자대리인 제도 완전정리

by green-saem 2025. 4. 9.

SNS 불법추심도 이제는 법적 보호 가능! 채무자대리인 제도 확대 시행 (2025년부터 적용)

2025년부터는 SNS를 통한 불법채권추심 피해자도 '채무자대리인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은 전화나 방문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불법추심을 당한 경우에만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카카오톡, 문자, 메신저, 이메일 등 디지털 불법추심까지 제도적 보호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제도 확대의 배경과 이유

  • 불법추심 수단의 디지털화 – 최근에는 SNS 메시지를 통해 채무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에게까지 협박성 메시지를 보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기존 제도의 한계 – 디지털 추심은 규제 사각지대에 있어 피해자들이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려웠습니다.
  •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 취약계층의 정신적 피해를 줄이고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했습니다.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항목 변경 내용
지원 대상 기존: 전화·대면 추심만 가능 → SNS, 문자, 이메일 등 포함
적용 제도 채무자대리인 제도 이용 가능
지원 방식 소득 기준에 따라 비용 전액 또는 일부 지원
필수 사항 불법추심 증거 확보 필수 (SNS 캡처, 통화 녹음 등)

채무자대리인 제도란?

금융채무 연체자가 불법적인 채권추심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전문 법률 대리인을 선임해, 금융사 또는 추심업체와의 연락을 법률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채무자 본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대리인이 대신 모든 연락과 대응을 담당합니다.

제도 이용 방법

  • 신청 기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 지원 대상:
    • 소득 하위 50% 이하 가구 – 비용 전액 지원
    • 중위소득 50~60% 구간 – 일부 본인 부담
  • 증거 확보 필수: SNS 캡처, 통화 녹음 등

기대 효과

  • 채무자의 인권 보호 강화 – 가족이나 지인을 통한 2차 피해 방지
  •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응 – 현실적인 법적 보호 장치 마련
  • 금융사 및 추심업체의 책임 강화 – 불법추심 시 형사처벌과 행정 제재 가능

💬 마무리하며

이번 제도 개정은 단순한 확대를 넘어,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카카오톡 한 통으로도 고통받던 채무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입니다.

불법추심으로 괴로움을 겪고 계신다면, 채무자대리인 제도를 적극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2025년 정부 정책을 바탕으로 정리한 정보입니다. 보다 정확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등 공식 기관의 공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