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수능 수학, 문이과 통합의 진짜 의미는?

by green-saem 2025. 3. 23.

선택 과목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수능, 아직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수학 영역은 선택 과목에 따라 입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정확한 정보가 중요해요.

오늘은 문이과 통합 수능 수학이 어떤 구조인지, 어떻게 과목을 선택해야 유리한지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문이과 통합 수능 수학이란?

예전에는 문과와 이과가 아예 다른 시험지를 풀었죠.

구분문과 (나형)이과 (가형)
과목 수Ⅰ, 수Ⅱ, 확률과 통계 수Ⅰ, 수Ⅱ, 미적분, 기하 등

하지만 지금은?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 + 선택’ 구조의 하나의 시험지를 봅니다!

 수능 수학의 현재 구조 (2025 수능 기준)

영역과목특징
공통 과목 수학Ⅰ + 수학Ⅱ 전 수험생 필수, 75점 배점
선택 과목 (1개) 미적분 / 확률과 통계 / 기하 25점 배점, 본인이 1개 선택

즉, 전 수험생이 공통 과목은 같지만,
선택 과목은 자신의 진로/전공에 따라 1개를 선택해 응시합니다.

❗ 문과·이과 구분이 없어졌지만, 입시는 여전히 ‘과목별 유불리’ 존재

선택 과목이 다르면, 점수를 비교하기 어려운 거 아닌가요?

→ 그래서 공통+선택 점수를 합쳐 표준점수로 환산해 반영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선택자 집단의 평균 수준에 따라 표준점수 유불리가 생긴다는 점!

 선택 과목별 특성 & 전략

과목특징어떤 학생에게 유리?표점 유불리
미적분 난이도 높음, 킬러문항 존재 이과 상위권 학생 표점 유리한 편
확률과 통계 문과에 친숙, 실생활 기반 문제 많음 문과 학생, 계산에 강한 학생 상대적 불리 가능
기하 도형·벡터 중심, 선택자 적음 특수 이공계 지원자 학교별 제한 존재

 선택 과목 전략 – 어떻게 고를까?

  • 내 성향 파악: 수치 계산? 추상 개념? 어느 쪽이 자신 있는가?
  • 희망 학과 확인: 일부 대학은 미적분/기하 필수 또는 유리
  • 모의고사로 테스트: 실제로 풀어보고, 실전 감각 체크

 앞으로는 어떻게 바뀔까?

2025년부터는 교육과정 자체가 개편돼서

  • ‘공통수학Ⅰ·Ⅱ’, ‘대수’, ‘미적분Ⅰ·Ⅱ’ 등으로 과목명이 바뀌고,
  • 고교학점제와 함께 학생의 선택권이 더 확대됩니다.

👉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마무리 요약

  • 지금 수학 수능은 문이과 통합 구조 (공통 + 선택 1개)
  • 선택 과목에 따라 입시 유불리 존재
  • 진로와 성향에 맞는 전략적 선택이 중요!

★ 다른 글에서는
**“선택 과목별 난이도 비교 + 대학별 반영 방식 정리”**를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