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험? 고용산재보험? 뭐가 다른가요? 증명서 발급은 어떻게 하나요?
정부 지원 사업이나 고용 관련 서류를 준비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산재보험’, ‘고용산재보험’, ‘가입증명서’, ‘완납증명서’ 같은 말들입니다.
하지만 이 단어들, 비슷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르기도 하고, 헷갈리기 쉬운 구조예요.
오늘은 이 개념을 완전히 정리해 드릴게요!
산재보험과 고용산재보험, 같은 걸까?
용어뜻쉽게 설명하면
즉, 산재보험은 두 개 중 하나,
산재보험 | 산업재해보상보험 | 일하다 다쳤을 때 보상해주는 보험 |
고용보험 | 실업급여, 직업훈련 등을 위한 보험 | 일자리를 잃었을 때를 대비하는 보험 |
고용산재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을 묶은 표현 | 두 개의 보험을 함께 관리한다는 뜻 |
고용산재보험은 두 개를 함께 묶은 용어입니다.
가입증명서와 완납증명서는 어떻게 발급하나요?
이제 헷갈리는 건, 서류 발급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부분이죠.
서류명내용발급 방식
고용보험 가입증명서 |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실 확인 | 따로 발급 가능 |
산재보험 가입증명서 | 산재보험에 가입한 사실 확인 | 따로 발급 가능 |
고용산재보험 가입증명서 | 두 보험 모두 포함한 통합 증명서 | 하나로 통합 발급 가능 |
고용산재보험 완납증명서 | 고용 + 산재보험료 모두 완납했음을 증명 | 하나의 서류로 발급 가능 |
어떤 걸 선택해야 하나요?
- 지원사업 제출용이라면 대부분 “고용산재보험 가입증명서” 하나만 제출하면 충분합니다.
- 간혹 기관에서 고용/산재를 각각 따로 제출하라고 할 경우엔 개별 발급하면 됩니다.
- 완납증명서도 마찬가지로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발급하면 대부분 통과됩니다.
실무 예시
Q. "저희는 산재보험만 가입돼 있어요. 고용산재보험 가입증명서 발급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시스템에서 고용 or 산재 중 가입된 항목만 선택해서 발급하면 됩니다.
Q. "정부지원사업 신청하는데 고용산재보험 서류를 내래요. 뭘 내야 하죠?"
가입증명서 + 완납증명서 두 개를, 통합 형태로 각각 1장씩 출력하면 대부분 OK입니다.
요약
● 산재보험 ≠ 고용산재보험
● 고용산재보험은 고용+산재 두 보험을 묶은 표현
● 서류는 각각도 발급 가능, 통합해서도 가능
● 대부분 통합 증명서(가입 + 완납)만으로 충분
♥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업 고용·산재보험료, 현장별 계산 방법 (0) | 2025.03.24 |
---|---|
고용산재보험 가입·완납 증명서 인터넷 발급방법 총정리 (0) | 2025.03.24 |
전자레인지 NO❌ 고기 육즙 살리는 냉동고기 해동법 3가지 (0) | 2025.03.24 |
2025 개정 교육과정 수학 과목 구조 완전 정리 (0) | 2025.03.23 |
주요 대학 수학 선택과목 반영 여부 확인 링크 모음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