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나이·주소지 무관! 생활비·심리상담 지원금 총정리 (최대 131만 원)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 가장 부담이 되는 것은 생계비와 병원비입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해두고 있는데요. 오늘은 서울형 생활비 지원 제도와 전 국민 심리상담 바우처, 그리고 기초연금 감액 기준까지 총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1. 서울형 2번 생활비 지원 제도
지원 대상
- 서울시 거주자
-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 3억 5천만 원 이하
- 배달기사, 택배기사, 가사관리사, 방문교사 등 취약 노동자
지원 내용
- 1일 최대 94,230원 지급
- 최대 14일 지원 → 연 최대 1,319,220원
- 2024년 기준 평균 지급액: 1인당 728,000원
신청 방법
- 보건소,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
- 퇴원일/검진일 기준 180일 이내 신청 필수
2. 전국민 마음건강 바우처 (심리상담 최대 64만 원)
주요 특징
- 소득, 나이, 주소지 무관
- 전문 심리상담 8회까지 바우처로 지원
- 1회당 7~8만 원 → 최대 640,000원
신청 자격
- 국가건강검진에서 우울 지수 10점 이상
-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병원에서 상담 필요 진단
제외 대상
- 조현병, 중증 자살위기 등 정신의학적 치료 우선 대상
- 유사 심리지원 서비스를 이미 받고 있는 경우
지원 금액 (1급 유형 기준)
기준 중위소득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
70% 이하 | 640,000원 | 없음 |
70~120% | 576,000원 | 64,000원 |
120~180% | 512,000원 | 128,000원 |
180% 초과 | 448,000원 | 192,000원 |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 본인 또는 대리인 신청 가능
- 2025년 12월 31일까지 (예산 조기 소진 가능)
기초연금 감액 기준 (국민연금 수령자용)
국민연금 수령액 | 기초연금 지급 여부 |
---|---|
기초연금 기준연금액(34만 2,510원)의 150% 이하 (약 45만 원 이하) |
전액 지급 |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의 150~200% (45만 원 ~ 150만 원 이하) |
일부 감액 지급 |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의 200% 초과 (150만 원 초과) |
지급 제외 |
비교 정리표
구분 | 서울형 생활비 지원 | 전국민 마음건강 바우처 |
---|---|---|
대상 | 서울시 노동취약계층 | 전국민 (우울 검사 기준 충족) |
지원금 | 연 최대 1,319,220원 | 최대 640,000원 |
신청처 | 보건소, 주민센터, 온라인 | 주민센터, 복지로 |
유의사항 | 서울 거주자만 해당 | 예산 조기 소진 가능 |
마무리 한마디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에는 정부가 마련한 제도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 거주자라면 생활비 지원부터 심리상담 바우처까지 이중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전국 어디서든 마음건강 서비스는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꼭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주변에도 널리 알려주세요!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STA 비자 신청방법 완벽 정리 – 따라만 하면 승인 완료! (0) | 2025.04.10 |
---|---|
건설업 외국인 고용, 가능한 비자 종류는?|불법 고용 과태료 주의! (1) | 2025.04.09 |
현금영수증 의무 업종 확대! 2025년부터 달라지는 업종 리스트 (2) | 2025.04.09 |
신생아 출산 시 주택 취득세 500만원 감면! 조건과 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5.04.09 |
"일용직 근로자 실업급여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2025 최신판)" (3)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