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고1이 꼭 알아야 할 입시 기초 총정리|수시·정시·교과·종합전형 !

by green-saem 2025. 4. 19.

고1이 꼭 알아야 할 입시 기초!

수시·정시·교과·종합전형

수시 vs 정시, 교과전형 vs 종합전형, 그리고 교과세특까지 한눈에 정리!

고등학교에 입학하자마자 입시 이야기를 들으면 막막하죠?
하지만 알고 보면 입시는 복잡하기보다는 체계적인 전략 게임이에요.
오늘은 고1이 반드시 알아야 할 입시의 기본을 총정리해 드릴게요.

🎓 대학 입시의 두 갈래길: 수시 vs 정시

정시: 수능으로 승부!

  • 언제? 고3 11월에 보는 수능 점수로 지원
  • 어떻게? 수능 성적만으로 가/나/다군 총 3개 대학에만 지원 가능
  • 누가 유리? 수능 준비에 올인할 수 있는 재수생
  • 주의할 점: 선택할 수 있는 카드가 3장뿐이라는 점!

수시: 생활기록부로 승부!

  • 언제? 고3 1학기까지의 내신 성적과 활동으로 지원
  • 어떻게?6개 대학까지 지원 가능
  • 누가 유리? 고등학교 생활을 성실하게 보낸 재학생
  • 주의할 점: 내신 + 생기부 전반이 중요하게 작용

수시 전형의 두 축: 교과전형 vs 종합전형

학생부 교과전형

  • 평가 기준: 내신 성적 중심
  • 유리한 학생: 성적이 꾸준히 우수한 학생
  • 전략: 성적 관리에 집중하며 교과 관련 활동도 함께 챙기기

학생부 종합전형

  • 평가 기준: 내신 + 교과세특, 동아리, 봉사, 진로 등
  • 유리한 학생: 성적이 조금 부족해도 활동이 우수한 학생
  • 전략: 탐구활동과 생활기록부를 풍부하게 채우는 것이 핵심

생활기록부의 핵심! 교과세특과 행복세특

교과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각 과목 선생님이 기록하는 수업 참여도, 발표, 탐구 태도 등
예: “수학 시간에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토론 능력이 뛰어남.”

행복 세특(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담임 선생님이 기록하는 전반적인 생활 태도, 인성, 책임감 등
예: “진로에 맞는 활동에 성실히 참여하며 또래와의 관계도 원만함.”

💡TIP: 대학은 교과세특과 행복세특을 통해 학생의 성실성, 진정성, 잠재력을 평가합니다!

고1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것들

준비 항목 구체적인 내용
내신 중간·기말고사 철저히 준비
교과세특 수업 참여, 발표, 탐구 태도 강조
동아리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 정리
독서 전공 관련 책 위주로 읽고 정리
봉사 의미 있는 봉사활동 내용 정리

✅ 수시를 포기하지 마세요!

고1~고2 성적이 기대에 못 미쳤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어요.
고3 1학기까지의 성적과 활동이 반영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노력하면 얼마든지 수시 기회는 열려있습니다!

입시는 단거리 경주가 아닌 마라톤입니다.
포기하지 말고, 나만의 입시 스토리를 만들어 가세요.

💬 마무리 조언

고1은 ‘출발선’에 불과합니다.
오늘의 작은 습관이 3년 뒤 합격의 열쇠가 될 거예요.
매일 한 걸음씩, 나만의 진로를 향해 걸어가 보세요!